2025년 최신 주휴수당 지급기준과 계산방법 총정리


주휴수당은 일정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쉬는 날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2025년 최저임금이 10,030원으로 인상됨에 따라 주휴수당 계산 기준도 함께 달라졌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주휴수당의 개념, 지급 조건, 계산법, 예시, 자주 묻는 질문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주휴수당이란?

주휴수당1주일 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하루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이는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명시되어 있으며,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결근 없이 일한 경우에 지급됩니다.


✅ 주휴수당 지급 요건

  • 1주일 소정 근로일 전부 개근

  • 주 15시간 이상 근무

  •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요일 및 시간 모두 이수


✅ 주휴수당 계산법

기본 공식
주휴수당 = (1주 근로시간 ÷ 근무일수) × 시급


예시 1: 주 5일 근무, 하루 8시간, 시급 10,030원

  • 주간 총 근로시간: 40시간

  • 1일 근무시간: 8시간

👉 주휴수당 = 8시간 × 10,030원 = 80,240원
👉 총 주급 = (40시간 × 10,030원) + 80,240원 = 481,440원


예시 2: 주 3일 근무, 하루 5시간, 시급 9,860원

  • 총 근로시간: 15시간

👉 1일 평균 근로시간 = 15 ÷ 3 = 5시간
👉 주휴수당 = 5시간 × 9,860원 = 49,300원


❌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

  • 주 15시간 미만 근로

  • 소정근로일 결근

  • 프리랜서, 특수고용직 등 근로자가 아닌 경우


🙋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아르바이트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 조건을 충족하면 누구나 지급 대상입니다.

Q. 입사한 지 며칠 안 되었는데 받을 수 있나요?
A. 입사 후 1주일 내에 근무 요건을 충족했다면 받을 수 있습니다.


주휴수당은 정당한 권리입니다.

조건을 잘 확인하고 정확하게 계산하여, 놓치지 마세요!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국민건강보험 소득정산부과동의서 양식 다운로드 받기

2025년 연간계획표 무료 달력 다운로드 PDF 6컬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