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최신 주휴수당 지급기준과 계산방법 총정리
주휴수당은 일정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
유급으로 쉬는 날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2025년 최저임금이 10,030원으로 인상됨에 따라 주휴수당 계산 기준도 함께 달라졌습니다.
이 글에서는 주휴수당의 개념, 지급 조건, 계산법, 예시, 자주 묻는 질문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✅ 주휴수당이란?
주휴수당은
1주일 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하루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이는 근로기준법 제55조에
명시되어 있으며,
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결근 없이 일한 경우에 지급됩니다.
✅ 주휴수당 지급 요건
-
1주일 소정 근로일 전부 개근
-
주 15시간 이상 근무
-
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요일 및 시간 모두 이수
✅ 주휴수당 계산법
기본 공식
주휴수당 = (1주 근로시간 ÷ 근무일수) × 시급
예시 1: 주 5일 근무, 하루 8시간, 시급 10,030원
-
주간 총 근로시간: 40시간
-
1일 근무시간: 8시간
👉
주휴수당 = 8시간 × 10,030원 = 80,240원
👉
총 주급 = (40시간 × 10,030원) + 80,240원 = 481,440원
예시 2: 주 3일 근무, 하루 5시간, 시급 9,860원
-
총 근로시간: 15시간
👉
1일 평균 근로시간 = 15 ÷ 3 = 5시간
👉
주휴수당 = 5시간 × 9,860원 = 49,300원
❌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
-
주 15시간 미만 근로
-
소정근로일 결근
-
프리랜서, 특수고용직 등 근로자가 아닌 경우
🙋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아르바이트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?
A. 네,
조건을 충족하면 누구나 지급 대상입니다.
Q. 입사한 지 며칠 안 되었는데 받을 수 있나요?
A.
입사 후 1주일 내에 근무 요건을 충족했다면
받을 수 있습니다.
주휴수당은 정당한 권리입니다.
조건을 잘 확인하고 정확하게 계산하여, 놓치지 마세요!